평(坪)의 유래와 미터법을 쉽게 평으로 계산하는 법

부동산을 거래할 때 공식적으로는 ‘㎡(제곱미터)’를 사용하지만, 아직도 ‘평(坪)’이라는 단위를 흔히 사용합니다. 그래서 ‘평’ 단위에 익숙한 사람들은 ㎡로 표시된 면적이 불편하기만 합니다. 이것을 평으로 환산하면 몇 평이나 되는지 머릿속으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죠. 이 글에서는 ‘평’이라는 단위를 사용한 유래와 ㎡를 ‘평’으로 쉽게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평’ 단위의 유래

 ‘평(坪)’ 단위는 오랜 전통을 가진 우리 고유의 도량형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일제강점기 시절 도입된 일본식 도량형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일정한 토지에서 생산할 수 있는 곡식의 양을 기준으로 한 결부법을 통해 면적을 계산했습니다. 이후 1902년, 고종 황제가 미터법을 도입한 ‘척양법(尺量法)’을 시행하려 했지만, 1909년 일본이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던 ‘척관법(尺貫法)’을 강제하면서 ‘평’ 단위가 정착되었습니다. 일본이 이렇게 한 이유는 세금 징수의 편리 때문입니다. 즉, 한반도 수탈을 좀더 편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 외에도 무게를 재는 ‘돈’, ‘냥’, ‘관’ 등이 있습니다.

2007년 7월부터 공식적으로 일본식 도량형 사용을 금지하고 미터법 등 국제표준단위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평수 계산기
네이버 평수 계산기

2. ㎡를 ‘평’으로 쉽게 변환하는 방법 

부동산 중개소나 분양사무소에 가면 건물 면적이 ㎡(제곱미터)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어림짐작으로 평으로 변환해야 하고, 자세한 정보를 원할 땐 계산기의 도움을 빌려야 합니다. 그렇지만 거의 정확한 계산방법이 있습니다.

1) 간편한 변환법

① ㎡ 숫자의 1의 자리를 제거합니다. 

② 남은 숫자에 3을 곱하면 근사치 ‘평’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85㎡라면 1의 자리 5를 제거하고 8에 3을 곱하면 24평이 나옵니다. 실제는 약 25.7평입니다. 만약 1의 자리가 너무 크면 반올림한 후 계산하면 됩니다. 89㎡를 반올림한 후 3을 곱하면 27평이 나옵니다. 실제는 26.9평입니다.

2) 변환 원리

이 계산법은 어떤 수를 3.3으로 나눈 값과 어떤 수에 3을 곱한 뒤 10으로 나눈 값이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 것에 착안한 방법입니다. 계산하기전 1의 자리를 제거하는 것이 10으로 나누는 효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3) 평수계산기

네이버나 구글,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 ‘평수계산기’로 검색하면 쉽게 정확한 평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3. 맺음말

2007년 이후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 단위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사용된 익숙한 단위이기도 하고 법적 제재가 미비한 점도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일본식 도량형은 쓰지 않는 것이 맞지만, ㎡만으로 불편함을 느낄 때는 1의 자리 제거 후 ×3을 해서 쉽게 평으로 변환할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