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호가창 보는 방법(feat 키움증권)

주식 호가창이란 고객의 주문에 따라 가격을 표시하는 화면을 말합니다. 어떤 물건이든 품질이나 서비스의 차이가 없다면 가격이 중요한 선택기준이 됩니다. 주식도 마찬가지인데요. 최대한 낮은 가격에 사서 비싼 가격에 파는 것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호가창은 스윙이나 장기투자자보다는 단타매매를 하는 분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매매호흡이 짧은 만큼 가격변동에 더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단타매매 입문자를 위한 호가창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호가창 구성

    키움증권 ‘[8282] 주식호가주문’ 화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매수/매도 영역

    호가창에는 매수금액과 수량, 매도금액과 수량, 총잔량, 체결강도, 체결량, 시가, 고가, 저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가운데 위치한 호가를 기준으로 화면을 4등분할 때 왼쪽 상단이 매도영역이고 오른쪽 하단이 매수영역입니다.
    – 매수호가와 매도호가는 각각 10개씩 표시되며 원하는 각 호가에 매수물량과 매도물량을 대기시켜 놓을 수 있습니다.
    – 10개 범위 이외의 호가에 물량을 넣고 싶다면 기타매도나 기타매수를 클릭하여 원하는 가격을 찾아 넣으면 됩니다.
    – 호가의 색은 전일종가보다 현재가가 높으면 빨간색, 낮으면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통상 매도총잔량이 매수총잔량보다 2~3배 정도 많으면 상승할 수 있는 호가창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8282] 호가창
    [8282] 호가창

    2) 체결창

    왼쪽 하단은 체결창 영역입니다.
    ‘[0120] 미니체결창’ 화면으로 따로 볼 수도 있습니다. 미니체결창에서는 시간, 체결가, 순간체결량,등락률, 체결강도 등 원하는 항목을 더 많이 볼 수 있지만, 여기선 체결량과 체결강도만 보여줍니다.
    체결량이란 말 그대로 체결된 수량이고 체결강도는 현재 매수와 매도 중 어느 쪽이 우위인지 숫자로 보여줍니다. 체결강도가 100보다 크면 매수우위, 100보다 작으면 매도우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체결창의 체결속도가 빨라지고 큰 체결량을 보이면서 체결강도가 100이상이 되면 돌파매매에 유리하고, 체결창 속도가 느리고 체결량도 얼마되지 않다면 눌림매매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호가창 오른쪽 윗부분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해서 설정창에 들어간 뒤 ‘EQUALIZER 보기’를 체크하고 나서 ‘기능 > 종합환경설정 > 체결량 이퀄라이져’에서 특정금액을 설정하면 설정 금액 이상이 들어올 때 설정한 소리가 납니다.

    참고로 바로 아래에 있는 ‘특정 체결량 설정’ 메뉴에서 금액을 설정하면 설정한 색깔로 체결창에 표시됩니다.

    3) 가격

    오른쪽 상단은 시가(시, 당일 시작 가격), 고가(고, 당일 가장 높은 가격 ), 저가(저, 당일 가장 낮은 가격), 당일 총 거래대금, 거래량, 거래비용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2. 체결 원리

      시장가란 가격을 지정하지 않은 채 주어진 호가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에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즉, 매수할 때 시장가매수를 한다면 매도호가 중에서 나에게 가장 유리한 매도1호가에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장가 매도를 한다면 매도1호가에 체결되겠죠.

      체결 순서는 먼저 등록한 물량부터 차례로 체결되며 매수는 낮은 호가부터, 매도는 높은 호가부터 차례로 체결됩니다.

      매매 체결원리는 시장가에 의한 것입니다. 매수호가와 매도호가에 쌓인 물량들은 전부 시장에 내놓은 물건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 물건을 손님이 사가야 매매가 성립되는데, 사는 행위가 바로 시장가 매수 혹은 시장가 매도인 것입니다.